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최근 공개한 AI 모델들이 오픈AI와 메타 등 미국 빅테크 기업들의 모델에 버금가거나 일부 능가하는 성능을 보이면서 글로벌 AI 시장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특히 적은 비용으로 고성능 AI를 개발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지만, 동시에 광범위한 개인정보 수집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딥시크의 AI 모델 성능과 개발 방식
◎ 딥시크 AI모델의 주요 성과
딥시크는 2024년 12월 대규모 언어모델(LLM) V3를 공개했고, 2025년 1월 20일에는 추론 특화 모델 R1을 선보였습니다. 이 모델들은 여러 벤치마크 테스트에서 오픈AI, 메타, 앤스로픽 등 미국 기업들의 최신 모델들과 대등하거나 우수한 성능을 보였습니다.
- V3 모델은 22개 평가 테스트 중 13개 부문에서 경쟁 모델들을 앞섰습니다.
- 500개 수학 문제 테스트에서 V3는 90.2%의 정확도를 기록해 다른 모델들(80% 수준)을 크게 앞섰습니다.
- R1 모델은 미국 수학경시대회(AIME) 벤치마크 테스트에서 79.8%의 정확도로 오픈AI의 o1 모델(79.2%)을 앞섰습니다.
- 코딩 테스트에서도 R1은 65.9%의 정확도로 o1(63.4%)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였습니다.
◎ 혁신적인 개발 방식
딥시크가 적은 비용으로 고성능 AI를 개발할 수 있었던 비결은 다음과 같습니다:
- 오픈소스 활용: 이미 공개된 AI 관련 소스코드를 바탕으로 개발을 진행했습니다.
- 전문가 혼합(Moe) 기법: AI가 특정 작업에 필요한 부분만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해 개발 효율성을 높였다. V3 모델의 경우 총 6710억 개의 매개변수 중 실제 구동 시 340억~370억 개만 활성화됩니다.
- 강화학습 중심의 학습 방식: 일반적인 지도학습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강화학습을 통해 AI를 학습시켰습니다.
- 그룹 접수 방식: 강화학습 과정에서 AI의 여러 행동을 그룹으로 묶어 비교하고 가장 좋은 결과를 찾아내는 방식을 적용했습니다.
- 하드웨어 효율화: 엔비디아의 구형 칩인 H800을 사용해 개발했다고 밝혔으나, 실제로는 모기업이 보유한 A100 칩도 활용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개발 비용 비교
딥시크의 AI 모델 V3 개발 과정이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놀라운 비용 효율성 때문입니다.
- 딥시크 V3 개발 비용: 약 557만 달러 (82억 원)
- 메타의 라마 3.1 개발 비용: 약 6억4000만 달러 (9406억 원)
딥시크의 개발 비용은 메타의 라마 3.1 대비 약 1% 수준에 불과합니다. 이는 업계에 큰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오픈AI 공동 창업자 안드레이 카파시는 "최첨단의 LLM을 웃음이 나올 정도로 적은 예산으로 만들었다"며 딥시크의 성과를 높이 평가했습니다.
딥시크의 개인정보 수집 우려
◎ 광범위한 데이터 수집
딥시크의 프라이버시 정책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다음과 같은 광범위한 정보를 수집합니다:
- 사용 장비 정보
- 키보드 입력 패턴이나 리듬
- IP 정보
- 장치 ID
- 쿠키 정보
◎ 중국 서버에 저장되는 개인정보
수집된 사용자 정보는 중국 내에 있는 보안 서버에 저장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이는 개인정보 보호와 국가 간 데이터 이동에 관한 우려를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 전문가의 우려
네이버 클라우드 AI 이노베이션 센터장인 하정우는 딥시크의 광범위한 정보 수집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그는 사용자들이 이러한 정보 수집 정책을 충분히 인지하고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글로벌 AI산업에 미치는 영향
◎ 미국 기업들의 반응
- 메타: 딥시크 기술을 분석하는 워룸을 4개 설치해 대응하고 있습니다.
- 마이크로소프트: CEO 사티아 나델라는 딥시크 모델의 효과적인 구현과 슈퍼컴퓨팅 효율성에 대해 인정하며, 중국의 AI 발전을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언급했습니다.
◎ 정치권의 반응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딥시크의 성과가 미국 AI 산업에 경각심을 일깨워주길 바란다고 언급했습니다. 백악관의 AI·암호화폐 담당자인 데이비드 색스도 딥시크 R1이 AI 경쟁의 치열함을 보여준다고 평가했습니다.
◎ 시장에 미치는 영향
딥시크 R1의 성공으로 엔비디아 등 미국 기술주 주가가 하락하는 등 미국 기술산업의 독보적 지위가 위협받고 있습니다. 또한, 천문학적 비용이 들어가는 AI 개발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결론
딥시크의 성과는 글로벌 AI 산업에 큰 변화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적은 비용으로 고성능 AI를 개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지만, 동시에 개인정보 보호와 국가 간 기술 경쟁 등 새로운 과제도 제기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AI 기술 발전과 함께 윤리적, 법적 문제에 대한 논의도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의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신 공무원 주 1회 재택근무로 바뀌는 공직 문화 (0) | 2025.01.31 |
---|---|
솔라나 스테이킹, 212% 수익의 비밀: 가상자산 투자의 새로운 지평 (0) | 2025.01.31 |
상암 '서울링' 대관람차 프로젝트 전격 공개! : 180m 고공 전망대 (0) | 2025.01.30 |
전국 첫 은퇴자용, 경남도민연금: 청년계좌 부럽지 않다! (0) | 2025.01.29 |
김해공항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 승객·승무원 176명 전원 탈출! (0) | 2025.01.29 |
무안공항 항공기 사고 분석: 활주로 2㎞ 앞서 블랙박스 정지 (0) | 2025.01.29 |
설 연휴에 펼쳐지는 행성 정렬 쇼: 6개 행성, 하나의 하늘에 모이다 (0) | 2025.01.28 |
코카콜라 대란: 유럽 전역을 흔든 염소산염 공포 (0) | 2025.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