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주항공 무안공항 참사 : 조류 충돌 예방 대책의 미흡함 드러나 2024년 12월 29일 발생한 제주항공 무안공항 참사의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는 조류 충돌 문제가 새삼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국토교통부가 11년 전인 2013년에 이미 조류 충돌 예방을 위한 권고안을 마련했음에도 불구하고, 이것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았다는 사실이 밝혀져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습니다.  2013년 국토부의 권고사항조류 충돌 예방 활동 관련 연구기구 운영조류탐지를 위한 전문 장비 도입동절기 이동철새 탐지를 위한 전담 조직의 공항 외곽 배치권고사항 이행 현황연구기구 운영 : 미이행 (대신 공항마다 조류 충돌 방지 관련 위원회를 연 2회 운영)탐지 장비 : 미도입 (조종사 시야 방해 우려로 레이더 도입 보류)공항 외곽 인력 배치 : 미이행특히 무안 공항의 경우, 조류 예방 활동 인력이 총 4.. 2024. 12. 31.
전남 무안국제공항 참사 후속 : 참사 원인 조사와 남겨진 이야기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사고 : 2차 착륙 시에는 왜 앞바퀴가 작동하지 않았나?2024년 연말, 무안국제공항을 뒤흔든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는 많은 의문을 남겼습니다. 특히 랜딩기어의 작동 여부가 큰 관심사로 떠올랐습니다. 사고 당일, 여객기는 두 번의 착륙을 시도했습니다. 첫 번째 시도에서는 모든 것이 정상적으로 보였습니다. 공항 근처에서 낚시를 즐기던 목격자들은 랜딩기어가 제대로 내려온 것을 똑똑히 보았다고 증언했습니다. 이는 현장에서 촬영된 사진으로도 확인되었습니다. 하지만 첫 번째 착륙 시도 중 예상치 못한 일이 벌어졌습니다. 새 떼와의 충돌로 인해 엔진에 불이 붙었다는 이야기가 있었고, 조종사는 급히 착륙을 포기하고 다시 상승했습니다. 두 번째 착륙 시도에서 상황은 급변했습니다. 이번에는 랜딩기어가.. 2024. 12.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