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03 AWS Load Balancer 설정하기 Load Balancer를 연결해서 여러 대의 EC2의 웹서비스에 사설도메인으로 접속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작업순서 대상 그룹 생성 로드밸런서 생성 대상 그룹 생성 대상 그룹이란, 로드밸런서가 트래픽을 라우팅 하기 위한 리소스의 그룹을 의미한다. EC2 > 대상 그룹 > 대상 그룹 생성 버튼 클릭 대상 등록 대상그룹에 인스턴스를 등록한다. 로드밸런서 생성 EC2 > 로드밸런서 > 로드밸런서 생성버튼 클릭 사용할 로드밸런서 유형 선택 ALB : L7 로드밸런서 ELB : L4 로드밸런서 GLB : 보안강화된 로드밸런서 로드밸런서 DNS로 웹서비스 접속확인 2024. 2. 29. AWS EC2에 사설 도메인 연결하기 EC2에 웹서비스를 올린 후 후이즈, 가비아 같은 도메인 호스팅 업체에서 구매한 사설 도메인과 연결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작업 순서는 다음과 같다. EC2에 nginx 설치 Route53 > 호스팅 영역 생성 Route53 > 호스팅 영역 세부정보 설정 도메인 신청 도메인 네임서버 변경 EC2에 nginx 설치 Amazon linux2에 nginx를 설치하는 방법은 아래 포스팅을 확인 https://coffeechat.tistory.com/entry/Amazon-Linux2%EC%97%90-nginx-%EC%84%A4%EC%B9%98%ED%95%98%EA%B8%B0 Amazon Linux2에 nginx 설치하기 일반적으로 CentOS나 Ubuntu 리눅스 서버에 nginx를 설치할 때는 yum insta.. 2024. 2. 27. Amazon Linux2에 nginx 설치하기 일반적으로 CentOS나 Ubuntu 리눅스 서버에 nginx를 설치할 때는 yum install nginx 또는 apt intall nginx 명령어를 사용하지만, Amazon Linux2는 yum install을 이용한 nginx 설치가 안된다. $sudo yum install nginx amazon-linux-extras install 명령어를 사용하여 설치를 진행 $sudo amazon-linux-extras install nginx1 nginx설치를 확인 $nginx -v nginx 서비스를 시작 $sudo service nginx start EC2의 퍼블릭 IP로 웹서비스 접속을 확인 nginx의 index 파일 경로 확인 $ls /usr/share/nginx/html 2024. 2. 25. AWS 비용관리 쉽게 해보자 - EC2 Global View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AWS 비용관리를 쉽게 하는 또 다른 방법인 EC2 Global View 기능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AWS에는 수많은 리전(Region)이 존재하는데요, 특히 회사에서 팀 내 여러 명이 AWS를 사용할 경우에는 여러 리전에 리소스를 만들어서 나중에는 관리가 어려워지는 경우가 생기기도 합니다. 이럴 때는 상용 CMP(Cloud Management Platform)에 가입하여 리소스를 관리할 수도 있지만, AWS의 EC2 Global View 기능으로 간단한 관리가 가능합니다. EC2 Global View (EC2 글로벌 보기) EC2 Global View는 계정내 생성된 AWS 모든 리전에 있는 EC2, VPC, Subnet, 볼륨, EIP, NAT 게이트웨이.. 2024. 2. 20. AWS 비용관리 쉽게 해보자 - AWS Budgets 안녕하세요. AWS를 사용할때 걱정되는 점 중 하나는 바로 비용인데요, 테스트하느라 만들어 놓은 서버를 깜빡잊고 지우지 않아서 수십~수백만원의 청구서가 날아오는 경험을 하신 분이 계실것 같은데요. (저도 그랬었구요 ;;;) 하지만, AWS비용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방법은 정말 다양해서 어떻게 해야할지 막막하기도 합니다. 이번에는 사용이 간단하면서도 괜찮은 기능중 하나인 Budgets을 알아보겠습니다. Budgets (예산) Budgets(예산) 기능은 리소스 이용 금액을 미리 정해놓은 후, 실제 사용금액 또는 사용 예정금액이 정해놓은 금액에 다다랐을 때 이메일로 알려주는 서비스입니다. 1. AWS 웹콘솔에 접속하여 오른쪽 상단의 계정 > 결제 및 비용 관리를 클릭 2. 왼쪽메뉴에서 예산 클릭 3. 예산.. 2024. 2. 19. EFS 자동으로 마운트하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번에 이어서, EC2가 리붓되어도 EFS를 자동으로 마운트 시키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살펴보려는 자동 마운트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명령어를 사용하여 자동마운트 EC2를 생성할때 스토리지를 구성하여 자동마운트 명령어를 사용하여 자동마운트 1. 지난 포스팅 절차대로 EC2와 EFS를 각각 생성합니다. 생성하는 방법은 아래 글을 참고해주세요. https://coffeechat.tistory.com/entry/EFS%EB%A5%BC-EC2%EC%97%90-%EB%A7%88%EC%9A%B4%ED%8A%B8-%ED%95%98%EA%B8%B0 2. 아래 링크로 이동하여, 명령줄을 메모장에 붙여넣기를 해주세요 https://docs.aws.amazon.com/ko_kr/efs/.. 2024. 2. 18. EFS를 EC2에 마운트 하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번에 만들었던 EFS를 여러 EC2에 마운트하여 파일을 공유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지난번에 만들어본 EFS는 이런 형태입니다. 두개의 가용영역에 EFS 마운트를 위한 Mount Target을 각각 배포했고, 보안그룹에 inbound로 NFS를 허용해주었습니다 . 이제 여기에 아래와 같이 EC2를 두개 생성한 후 파일을 서로 공유해보겠습니다. EC2 생성 및 SSH접속 다음과 같이 두개의 가용영역에 각각 EC2를 한 개씩 생성했습니다. EC2가 만들어지면, 두개 모두 SSH접속을 해주세요. SSH로 EC2접속하는 방법 링크 (https://coffeechat.tistory.com/entry/SSH%EB%A1%9C-EC2-%EC%A0%91%EC%86%8D%ED%.. 2024. 2. 15. AWS EFS(Elastic File System) 생성하기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외장 스토리지 중 하나인 EFS(Elastic File System)을 만들고, EC2에 연결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EFS는 여러 리소스들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스토리지서비스이며, 가장 큰 특장점으로는 애플리케이션의 중단없이 필요에 따라 용량을 확장 및 축소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EFS 구성은 아래과 같이 진행하려고 합니다. - EFS의 엔드포인트 역할을 해주는 Mount Target을 각 가용존마다 한 개씩 구성 - Mount Target은 보안을 위해 Private subnet에 구성 - Mount Target의 보안그룹에는 NFS 인바운드 규칙을 설정 자~ 시작해볼까요? Mount Target용 보안그룹 생성 먼저, EFS와 EC2를 연결해줄 Mount Ta.. 2024. 2. 12. 이전 1 ··· 34 35 36 37 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