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EC2 재시작해도 EBS자동연결 설정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EC2에 연결한 EBS볼륨을 EC2가 재시작을 해도 자동으로 연결되도록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EC2에 mount 명령어로 그냥 mount를 한 뒤 서버를 재시작하면 다시 mount를 해줘야 하는데요,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etc/fstab 파일에 볼륨정보를 저장해놓으면 부팅할때 자동으로 볼륨이 마운트 됩니다. ( fstab는 부팅 단계에서 마운트 되어야 할 볼륨정보가 저장되는 곳입니다. ) 먼저 지난 포스팅에서 마운트된 볼륨정보를 살펴볼께요. 8.G짜리 루트볼륨과 99G짜리 추가볼륨이 보입니다. UUID 확인 blkid명령어로 마운트할 볼륨의 UUID를 확인합니다. $ sudo blkid 아래 텍스트를 메모장에 복사한 후 붉은색 부분인 UUID, 마운트 디렉토리, 파일.. 2024. 2. 11. AWS EC2에 EBS(블록스토리지) 연결하기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AWS EC2에 외부 저장소중 하나인 EBS(Elastic Block Storage)를 연결해보겠습니다. 외부 저장소에 데이터를 저장해야 하는 이유는, EC2가 다운되어 새로운 EC2를 생성하더라도 안전하게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보관하기 위해서인데요, EC2가 생성될때 자동으로 만들어지는 볼륨에 데이터를 보관할 경우 EC2가 지워질 경우 데이터도 함께 지워지기 때문입니다. EC2에 SSH접속하여 볼륨상태 조회 먼저 Public Subnet에 생성된 EC2에 SSH로 접속한 후 df -hT명령어로 파일시스템을 조회합니다. $ df -hT EC2에 SSH 접속하는 방법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https://coffeechat.tistory.com/entry/SSH%EB%A1%9C-E.. 2024. 2. 1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