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 Balancer에 연결된 여러 대의 EC2를 Rout53을 이용해 사설도메인으로 접속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작업순서
- EC2에 Nginx 설치
- 로드밸런서(ALB) 생성
- Route53 생성
EC2에 Nginx설치
두 개의 가용영역에 EC2를 생성 후 nginx를 설치
설치방법은 아래 포스팅 참조
Amazon Linux2에 nginx 설치하기
일반적으로 CentOS나 Ubuntu 리눅스 서버에 nginx를 설치할 때는 yum install nginx 또는 apt intall nginx 명령어를 사용하지만, Amazon Linux2는 yum install을 이용한 nginx 설치가 안된다. $sudo yum install nginx amazon-linux
coffeechat.tistory.com
로드밸런서 생성
아래 포스팅 참조
https://coffeechat.tistory.com/entry/AWS-Load-Balancer-%EC%84%A4%EC%A0%95%ED%95%98%EA%B8%B0
AWS Load Balancer 설정하기
Load Balancer를 연결해서 여러 대의 EC2의 웹서비스에 사설도메인으로 접속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작업순서 대상 그룹 생성 로드밸런서 생성 대상 그룹 생성 대상 그룹이란, 로드밸런서가 트래픽을
coffeechat.tistory.com
Route53 호스팅 영역 생성
Route53 > 대시보드에서 DNS관리의 호스팅 영역 클릭
호스팅 영역 생성버튼 클릭
도메인 주소와 서버 IP입력
호스팅 레코드 생성
도메인의 레코드 생성을 위해 해당 도메인주소 클릭
레코드 생성버튼 클릭
중요~!!!
- 레코드 이름에 www 입력
- 별칭 활성화
- 트래픽 라우팅 대상 : Application / Classic Load Balancer 선택
- 리전 선택
- 생성한 elb 선택
사설도메인 네임서버 변경
사설도메인 호스팅 사이트에 접속하여, 해당 도메인의 네임서버를 AWS Route53의 레코드 값으로 변경
도메인 연결 확인
'IT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비소프트 게임 할인정보 (봄맞이 특별 할인) (2) | 2024.03.23 |
---|---|
스팀게임 특별할인 정보 (3월) (0) | 2024.03.17 |
[AWS] 공짜로 아이디/패스워드를 안전하게 관리하는 방법 (0) | 2024.03.10 |
AWS 세션관리자로 EC2 접속하는 방법 (0) | 2024.03.05 |
AWS Load Balancer 설정하기 (0) | 2024.02.29 |
AWS EC2에 사설 도메인 연결하기 (0) | 2024.02.27 |
Amazon Linux2에 nginx 설치하기 (0) | 2024.02.25 |
AWS 비용관리 쉽게 해보자 - EC2 Global View (0) | 2024.02.20 |